자유게시판

또래 경쟁에서 좌절감을 겪는 28개월 아이, 이렇게 대처하세요!

2 동네형 0 2 01.03 23:14

24c513a2976867acfcbc16772482287a_1735913
28개월의 아이는 또래와의 놀이를 통해 점차 사회성을 배우며 성장합니다. 하지만 경쟁 상황에서 자주 좌절감을 느낀다면, 이는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의 일부이지만 부모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방식으로 대처하도록 도와주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24c513a2976867acfcbc16772482287a_1735913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기

아이가 경쟁 놀이에서 속상해하거나 좌절감을 표현할 때는,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우는 등 강하게 표현할 경우, "너무 속상했구나", "이기고 싶었는데 잘 안 돼서 속상했겠어"라고 아이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해 주세요.

구체적인 방법

  • 감정 거울법: 아이가 표현하는 감정을 그대로 따라하며 말로 풀어줍니다.
  • 긍정적 표현 유도: "괜찮아, 다시 해볼 수 있어!"라며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세요.
  • 신체 접촉: 아이를 안아주거나 손을 잡으며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부모가 감정을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이면 아이는 "내가 느끼는 감정이 틀린 것이 아니구나"라고 느끼며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24c513a2976867acfcbc16772482287a_1735913
아이의 자기 조절 능력 키우기

28개월의 아이는 자기 조절 능력이 아직 발달 단계에 있습니다. 좌절감이 드는 상황에서 자기 조절을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습할 수 있는 활동

  • 역할 놀이: 인형이나 장난감을 활용해 경쟁 상황을 재현하며, "다음엔 어떻게 하면 좋을까?"를 이야기해보세요.
  • 깊은 숨쉬기: 아이가 화가 났을 때, "우리 천천히 숨쉬어 보자"라고 말하며 간단한 심호흡을 가르쳐주세요.
  • 감정 카드 활용: 다양한 감정이 표현된 그림 카드를 보여주며, "지금 이런 기분이야?"라고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24c513a2976867acfcbc16772482287a_1735913
놀이에서 성공 경험 쌓아주기

놀이를 통해 성공감을 느낄 기회를 많이 만들어 주세요. 작은 성취라도 축하해주는 과정을 통해 아이는 자신감을 얻습니다.

실천 방안

  • 팀 놀이 유도: 경쟁보다는 협동을 강조한 놀이를 통해 성공 경험을 나눌 수 있습니다.
  • 난이도 조절: 너무 어려운 게임보다는 아이의 연령에 적합한 놀이를 선택해 주세요.
  • 칭찬하기: 작은 성취에도 "정말 멋지게 해냈구나!"라고 칭찬하며 아이의 성장을 격려합니다.

24c513a2976867acfcbc16772482287a_1735913
부모의 태도는 아이에게 큰 영향을 준다

부모가 경쟁 상황에서 보이는 태도는 아이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아이 앞에서 지나치게 경쟁을 강조하거나 승패에 집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중요한 태도

  • 승패보다 과정 강조: "우리가 열심히 했으니 그게 제일 중요해"라고 말해주세요.
  • 모범 보이기: 부모 스스로도 경쟁 상황에서 긍정적이고 성숙한 태도를 보여야 합니다.
  • 또래 비교 금지: 다른 아이와 비교하는 것은 아이의 자존감을 낮추므로 피해야 합니다.

24c513a2976867acfcbc16772482287a_1735913
놀이를 통해 감정 관리 기술을 배우게 하세요

놀이 자체가 아이에게 감정을 배우고 표현할 수 있는 훌륭한 기회입니다. 놀이를 통해 감정 조절과 사회적 기술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세요.

추천 놀이

  • 가상 놀이: 역할극을 통해 다양한 감정 표현을 시도합니다.
  • 교대 놀이: 차례를 기다리며 양보하는 법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습니다.
  • 예술 활동: 그림 그리기, 찰흙 놀이 등으로 감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게 해보세요.

24c513a2976867acfcbc16772482287a_1735913
아이의 성장 단계에 따른 기대를 조정하기

아이의 발달 단계를 이해하고, 좌절감과 경쟁의 의미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높은 기대를 가지기보다는 아이의 현재 수준에 맞는 목표를 설정해 주세요.

실천 팁

  • 발달 단계 이해: 28개월의 아이는 아직 충동적일 수 있음을 염두에 둡니다.
  • 작은 목표 설정: 점진적으로 성공 경험을 쌓게 해주세요.
  • 긴장 완화: 경쟁 상황 후에는 휴식을 제공하며 아이가 스스로 안정감을 찾도록 돕습니다.

결론

경쟁 상황에서 좌절감을 겪는 것은 아이가 사회적 기술과 감정 조절을 배울 중요한 기회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자기 조절 능력을 길러주며, 긍정적인 놀이 경험을 통해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 부모의 역할입니다. 무엇보다도, 아이의 발달 단계를 존중하며 따뜻하게 대처하는 태도가 아이의 자존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Q&A

Q1. 아이가 계속 승패에 집착한다면?

승패가 아닌 노력의 중요성을 꾸준히 강조하고, 승패와 관계없는 칭찬과 격려를 많이 해주세요.

Q2. 다른 아이와 다툼이 잦다면?

문제 상황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며, 어떻게 해결할지 아이가 생각하도록 격려하세요. 또한 놀이 전에 간단한 규칙을 정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24c513a2976867acfcbc16772482287a_1735913

*** 불펌 무단복제 이미지 캡쳐를 금지합니다 ***

, , , , , , , , ,

Comments

글이 없습니다.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